본문 바로가기

dev/DOCKER

(19)
docker i/o timeout 에러 docker에서 tomcat 이미지 검색했는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원인을 파악했는데 DNS 서버 주소가 192.168.0.106번으로 잡혀있어서 안 되는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DNS 주소를 변경하기 위해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 파일을 수정합니다. 17번째 라인에 "DNS1=8.8.8.8"을 추가합니다. (구글 DNS 주소 :8.8.8.8) 그리고 리눅스 네트워크 재시작합니다. 다시 docker에서 이미지 검색합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표출되면 정상적으로 docker 이미지가 검색된 것입니다.
centos docker 이미지 저장 경로 수정 도커 이미지 저장 위치 수정하는 방법 포스팅하겠습니다. 도커의 이미지 기본 저장 경로는 "/var/lib/docker"입니다. 이 경로로 이미지를 다운받게 되면 저장 공간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도커의 이미지 저장 경로를 수정해야 합니다. 먼저 저장할 경로, 폴더를 만들어야 하는데 여기서 저는 home 디렉토리 밑에 "dockerImages"라는 경로를 만들겠습니다. 새로 만든 경로를 도커 이미지 저장 경로로 설정하려면 /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docker.service 파일 14라인에 --data-root 옵션으로 새로운 저장 경로를 설정합니다. 수정이 끝났으면 도커를 재부팅합니다. 그리고 저장 경로가 제대로 수정되었는지 확인..
centos docker 설치 리눅스에 도커 설치 및 이미지 저장 위치 설정하는 방법 포스팅하겠습니다. 도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루트 권한이 필요합니다. 위의 명령어는 리눅스 배포판을 인식하여 도커를 설치하는 명령어입니다. (sudo wget -qO- https://get.docker.com | sh) 화면에 "From ~"을 보게 되면 설치하는 리눅스 배포판이 centos로 인식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설치가 끝났으면 이제 도커를 실행시켜보겠습니다. 도커를 실행하기 위해서 "sudo service docker start" 명령어를 입력하고 제대로 실행됐는지 확인하려면 "sudo service docker status"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