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 (261) 썸네일형 리스트형 lombok 설치 및 사용 스프링 개발할 때 모델 클래스 getter, setter를 일일이 만드는 게 귀찮을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lombok입니다. 먼저 lombok을 사용하려면 이클립스에 lombok을 설치해야 합니다. lombok.jar를 설치하려면 윈도우에서 cmd로 lombok.jar를 실행시켜야 합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아래와 같이 설치 화면이 보이는데 여기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이클립스를 선택하고 Install/Update 버튼을 클릭합니다. (다른 이클립스에 설치하려면 Specify location 버튼을 클릭해서 이클립스를 선택합니다.) lombok 설치가 제대로 끝났으면 위와 같이 "Install successful" 화면이 표출됩니다. 그리고 이클립스를 실행시키면 lo.. ELK 연동 ELK 연동하는 방법을 포스팅하겠습니다.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1. Logstash가 파일을 읽어서(모니터링) 2. Elastic Search 인덱스로 전달하고 3. Kibana로 확인 이 순서대로 진행할 것입니다. Logstash부터 먼저 수정합니다. 도커로 설치했기 때문에 Logstash 컨테이너 안으로 접속합니다. 컨테이너 안으로 접속했으면 /usr/share/logstash/pipeline/lostash.conf 파일을 vi 편집기로 수정합니다. logstash.conf 파일 내용을 아래와 같이 수정합니다. 파일 내용을 설명드리면 1~5 라인(input)은 Logstash가 읽어 들이는 파일 위치 정보, 즉 InputStream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test.txt 파일은 도커 컨테이너 내부에 있.. ELK install - Kibana Logstash 설치에 이어 이번에는 도커로 Kibana 설치하는 방법을 포스팅하겠습니다. Kibana 도커 이미지를 다운받습니다. sudo docker pull docker.elastic.co/kibana/kibana:7.8.0 Kibana 도커 이미지가 제대로 다운받았는지 확인합니다. Kibana 도커 이미지 다운이 확인되었으면 Kibana 도커 컨테이너 실행합니다. sudo docker run --name elk-k -d -p 5601:5601 --link elk-e:elasticsearch-custom docker.elastic.co/kibana/kibana:7.8.0 Kibana를 Elastic search와 제대로 연계하기 위해서 kibana.yml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Kibana 컨테이.. ELK install - Logstash 저번에 Elastic search 설치에 이어서 이번에는 Logstash를 도커로 설치하는 방법을 포스팅하겠습니다. Logstash 도커 이미지를 다운로드합니다. Logstash 도커 이미지가 제대로 다운로드하였는지 확인합니다. Logstash 컨테이너를 실행합니다. Logstash 컨테이너를 실행할 때 Elastic search가 실행되어있어야 Logstash를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Logstash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었어도 설정 파일을 수정해야 Elastic search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습니다. 그러려면 logstash.yml, log4j2.properties, logstash.conf 파일 3개를 수정해야 합니다. 파일을 수정하기 위해서 현재 실행 중인 컨테이너 안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ELK install - Elastic Search ELK를 도커로 설치하는 방법을 포스팅하겠습니다. ELK는 Elastic Search, Logstash, Kibana의 앞글자를 딴 줄임말로 먼저 Elastic Search설치부터 시작하겠습니다. Elastic Search도커 이미지를 다운받습니다. sudo docker pull docker.elastic.co/elasticsearch/elasticsearch:7.8.0 도커 이미지를 다운 받으면 위와 같은 화면이 표출됩니다. Elastic Search도커 이미지를 제대로 다운받았는지 확인합니다. Elastic Search도커 컨테이너를 실행합니다. sudo docker run --name elk-e -d -p 9200:9200 -p 9300:9300 -e "discovery.type=single-nod.. 어도비 플레이어 삭제 올해부터 어도비 플레이어가 중단된다고 해서 제거했습니다. 아직 제거하지 못한 분이 계신다면 이번 게시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어도비 플레이어가 설치되어있는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C:\Windows\system32\Macromed\Flash C:\Windows\SysWOW64\Macromed\Flash %appdata%\Adobe\Flash Player %appdata%\Macromedia\Flash Player 먼저 C:\Windows\system32\Macromed\Flash 폴더로 이동하겠습니다. 해당 경로로 이동하면 다음과 같이 파일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파일 삭제가 되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어도비 관련 폴더 및 파일들은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는 삭제가 안되기 때문입니다. 파일들을 지우려면.. centos docker 이미지 저장 경로 수정 도커 이미지 저장 위치 수정하는 방법 포스팅하겠습니다. 도커의 이미지 기본 저장 경로는 "/var/lib/docker"입니다. 이 경로로 이미지를 다운받게 되면 저장 공간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도커의 이미지 저장 경로를 수정해야 합니다. 먼저 저장할 경로, 폴더를 만들어야 하는데 여기서 저는 home 디렉토리 밑에 "dockerImages"라는 경로를 만들겠습니다. 새로 만든 경로를 도커 이미지 저장 경로로 설정하려면 /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docker.service 파일 14라인에 --data-root 옵션으로 새로운 저장 경로를 설정합니다. 수정이 끝났으면 도커를 재부팅합니다. 그리고 저장 경로가 제대로 수정되었는지 확인.. centos docker 설치 리눅스에 도커 설치 및 이미지 저장 위치 설정하는 방법 포스팅하겠습니다. 도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루트 권한이 필요합니다. 위의 명령어는 리눅스 배포판을 인식하여 도커를 설치하는 명령어입니다. (sudo wget -qO- https://get.docker.com | sh) 화면에 "From ~"을 보게 되면 설치하는 리눅스 배포판이 centos로 인식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설치가 끝났으면 이제 도커를 실행시켜보겠습니다. 도커를 실행하기 위해서 "sudo service docker start" 명령어를 입력하고 제대로 실행됐는지 확인하려면 "sudo service docker status"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33 다음